딱딱한 백내장 수술의 기본 접근 방법
- 딱딱한 백내장 수술의 기본 접근 방법
- 딱딱한 백내장(갈색 백내장) 수술 – 수술 전 평가
- 딱딱한 백내장 술기 part1 – 전낭염색
안녕하세요, 안과 전문의 송한입니다.
오늘은 수술이 까다로울 수 있는 딱딱한 백내장 수술에 대해 다뤄보려고 합니다. 특히, 수술의 기본적인 접근 방법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나눠보겠습니다.
수술 초기에 가장 부담스럽고 어렵게 느껴졌던 케이스가 바로 딱딱한 백내장일 겁니다. 하지만 경험이 쌓이고 나면, 사실 이 딱딱한 백내장이 그렇게 어렵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는데 오히려, 초보 시절에는 도전조차 하지 못했던 더 복잡한 케이스들이 많이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백내장 수술은 기본적으로 흐려진 수정체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 과정입니다. 수정체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주로 초음파 에너지를 사용하여 수정체를 분쇄합니다. (백내장 수술 과정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시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딱딱한 백내장이 어려운 이유

백내장을 쪼개 진행하는 과정이 보통의 백내장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하지만 딱딱하면 잘 쪼개지지 않고, 그러다 보면 수정체 주변 조직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되고, 합병증이 생길 수 있는 상황이 더 많이 노출되는 것이죠.
또한 백내장이 딱딱하다는 것은 오랫동안 진행이 되었다 혹은 눈의 염증질환 등 다른 문제가 있었다는 것인데, 이 두 가지는 백내장이 딱딱해지는 것 뿐만 아니라 수정체를 지지하는 섬모체 등 다른 눈 조직등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도 높을 수 있습니다. 다른 글에서도 설명을 드리겠지만 수정체 지지대인 섬모체 소대가 약한 경우 수술은 더욱 까다롭습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딱딱한 백내장이 어렵지만 대부분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수술 전 검사의 중요성
딱딱한 백내장을 가진 환자들은 대부분 시력이 0.1 이하로, 손의 움직임 정도만 겨우 볼 수 있는 상태로 내원합니다. 백내장이 짙은 갈색, 심한 경우 거의 검은색에 가까운 색을 띠며, 양쪽 눈에 비슷한 정도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80대에서 90대의 고령 환자들이 많고, 이들 중 상당수는 다른 안과적 질환도 함께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환자들에게는 수술 전 검사가 매우 중요합니다. 현미경 검사를 통해 각막 상태, 눈의 전방 깊이, 수정체 소대 등 눈의 주변 조직이 괜찮은지 확인해야 합니다. 백내장이 너무 딱딱하고 혼탁하면 눈 뒤의 망막이나 맥락막, 망막 혈관 문제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초음파 검사를 통해 큰 문제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백내장이 너무 딱딱한 경우, 생체계측 또한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생체계측이란, 인공수정체의 도수를 측정하는 과정으로, 정확한 도수를 측정하기 위해 초음파를 이용해야 할 때도 있습니다.
수술 전 검사를 철저히 하는 이유는 수술 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미리 예측하고, 이에 대비한 시나리오를 준비하기 위함입니다. 수술 중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하면 당황하게 되기 쉬운데, 이러한 대비가 되어 있으면 차분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수술 중 중요한 단계들
딱딱한 백내장을 수술할 때는 고급 기술보다는 섬세함과 차분함이 중요합니다.
백내장이 딱딱하면 눈 뒤에서 오는 적색 반사가 거의 없어 수정체낭이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수정체낭을 절개하는 과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때 수정체낭을 염색해 시각화하는 것이 중요한데, 국내에서는 주로 ICG(인도사이아닌 그린)라는 염색 물질을 사용합니다. 수정체낭 원형절기술이 완벽해야 하며, 최소 5mm 이상의 직경이 필요합니다.

수력분리술 또한 중요한 단계입니다. 수정체낭과 백내장 사이를 분리하는 이 과정이 잘 이루어져야 수정체낭에 무리한 스트레스를 주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너무 과도하게 한다면 딱딱한 백내장은 후낭파열이 발생할 수 있어 조심해야 합니다.
딱딱한 백내장에서는 초음파 에너지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이 에너지가 각막 내피세포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점탄 물질을 사용해 이를 보호해야 합니다. 최악의 경우 수술 이후 각막부전에 빠져 각막이식을 하게 되는 경우도 있죠.

백내장을 제거할 때, 조각을 잘 쪼개는 기술이 핵심입니다. 다양한 쪼개는 기법이 있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찹 테크닉을 선호합니다. 버티컬 찹이나 호리젠탈 찹 등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본인이 자신 있는 기술을 사용해 수정체낭에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조각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딱딱한 백내장 수술은 후낭 파열의 위험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조각을 제거할 때 주의해야 합니다. 이러한 모든 과정을 통해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딱딱한 백내장 수술은 고도의 기술보다는 섬세함과 차분함이 요구됩니다.
수술 전 철저한 준비와 수술 중 주의 깊은 접근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자, 이렇게 오늘은 딱딱한 백내장 수술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알아보았습니다.
앞으로 포스팅을 통해 실제 수술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를 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질문은 커뮤니티를 이용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