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한점 묻고 답해요
백내장 양안 수술후 한쪽 눈만 뿌옇고 흐립니다.
안과 질문
작성자
박종석
작성일
2024-11-22 12:36
조회
416
백내장이 양안에 있었구 좌안은 백내장이 심해서 복시가 있었으나 우안은 그렇게 심하지는 않았습니다.
좌안 수술시 초고도근시(-13 디옵터, 안축장 31mm)인 우안도 같이 수술하였습니다.
참고로 좌안은 퓨어씨로 하였으니 우안은 퓨어씨의 경우 맞는 돗수가 나오는게 없어서 자이스사에서만
나오는 난시도 같이 교정되는 리사트리 렌즈로 넣었습니다.
하지만 수술이후에 좌안은 다음날 부터 잘 보이지만 우안의 경우 현재 2주가 지났으나 뿌옇고 원거리는 어느정도 보이나
근거리 및 중간거리 글씨가 보기 어렵습니다. 마치 물속에서 글을 읽는듯합니다. 아마도 백내장 다초점 렌즈의 부작용중에
시야흐림이라구 표현하는듯 합니다.
이게 연속초점과 다초점의 회절성 동작 차이로 보기에는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회절성의 다초점 렌즈로도 적응 잘 해서 근거리의 작은글씨까지 근/중/원에 대해 선명하게 잘 보는 사람들이 많거든요.
혹시 우안이 잘 안 보이는 이유를 생각해봤는데요.. 제가 생각한 다음의 시나리오 일수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재수술까지도 생각하고 있는데 아래 상황이라면 우안도 인공수정체에 적응할수 있도록 시간을 두고 참는게 최선일까요?
근데 네이버 카페 등의 커뮤니티에서 보면 1년이 지나도 여전히 근거리가 아쉽다거나 중간거리가 아쉽다라는 글들을 볼수
있습니다. 그것은 다초점 렌즈 특성상 근거리 및 중간거리의 빛의 배분이 낮아서 그런것일까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아래 나오는 수치는 정확하지 않고 그냥 쉽게 이해하도록 예를 든것입니다.
백내장이 심한눈(좌안)이 있고 안심한 눈(우안)이 있는데.. 수술전에는
빛을 100을 받으면 심한 눈은 50%정도만 통과하여 보게 되구.. 안 심한 눈은 80%정도만 통과하여 수년동안
차츰씩 나빠지는 눈이지만 조금씩 조금씩 뇌가 적응하면서 보는게 익숙했습니다.
만약 백내장 다초점 렌즈로 수술을 하면 인공수정체이기 떄문에 빛의 70% 정도만 통과하게 됩니다.
물론 70%의 빛을 원거리, 중간거리, 근거리 또 나누게 되긴 하지만.. 그것에 대해서는 그냥 무시할께요
그러다가 수술후 좌안의 경우 기존에 50%만 빛이 들어오다가 수술후에 70% 들어오니 엄청 밝게 보이구 잘 보입니다.
이것은 좋게 된거기 때문에 뇌가 오히려 긍정적으로 반응합니다. 수술 직후 렌즈 spec을 벗어나서 오히려
더 잘보이기까지 합니다.(예를 들면 단초점 근거리를 하더라도 수술 직후 원거리가 잘 보이는 현상)
하지만 우안의 경우 기존 80%가 들어오다가 수술후에 70%가 들어오니 기존대비 빛이 부족하다구 생각이 되어
더 어둡고 뿌옇고 잘 안보이는게 아닌게 합니다. 즉 뇌가 기억을 하는거죠.. 기존에 80% 받았을때를 기억하는데
갑자기 70%만 들어오니.. 상대적으로 안보이는게 아닌가 합니다. 이게 시간을 두고 천천히 80% -> 70%까지 줄어든게
아니라 갑자기 70%로 줄어드니 뇌가 적응하지 못합니다.
아마 핸드폰을 최대 밝기로 한다거나 야외에서 핸드폰을 보면 핸드폰 글씨가 어느정도 보이는데..
그래서 의사들이 시간이 필요하다구 하는듯 합니다. 뇌가 기존 80% 빛의 시야에 익숙해져 있는데 수술후에 70% 빛의
시야에 익숙해지도록이요.. 익숙해지는데는 사람에 따라 최대 6개월~1년 사이 걸린다구 합니다.
아마 단초점일수록 빛을 100%에 가깝게 받아들이기 때문에 적응하는데 시간이 짧을거라구 생각합니다.
이를 생각하게 된 이유는 저의 다초점 렌즈 빛 배분이 원거리(50), 중간거리(20), 근거리(30)인데요..
현재 뿌옇고 보이고 있는 상황이긴 하지만 들어온 빛의 절반을 가져가는 원거리는 어느 정도 잘 보입니다.
그리고 그 다음에 근거리, 중간거리 수준으로 보이는데요..
사실 중간거리는 형편없는 수준입니다. 모니터 글을 겨우 읽는 수준입니다. 집중해서 보면 읽을수 있지만
1분 지난면 그냥 보기 싫습니다.
좌안 수술시 초고도근시(-13 디옵터, 안축장 31mm)인 우안도 같이 수술하였습니다.
참고로 좌안은 퓨어씨로 하였으니 우안은 퓨어씨의 경우 맞는 돗수가 나오는게 없어서 자이스사에서만
나오는 난시도 같이 교정되는 리사트리 렌즈로 넣었습니다.
하지만 수술이후에 좌안은 다음날 부터 잘 보이지만 우안의 경우 현재 2주가 지났으나 뿌옇고 원거리는 어느정도 보이나
근거리 및 중간거리 글씨가 보기 어렵습니다. 마치 물속에서 글을 읽는듯합니다. 아마도 백내장 다초점 렌즈의 부작용중에
시야흐림이라구 표현하는듯 합니다.
이게 연속초점과 다초점의 회절성 동작 차이로 보기에는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회절성의 다초점 렌즈로도 적응 잘 해서 근거리의 작은글씨까지 근/중/원에 대해 선명하게 잘 보는 사람들이 많거든요.
혹시 우안이 잘 안 보이는 이유를 생각해봤는데요.. 제가 생각한 다음의 시나리오 일수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재수술까지도 생각하고 있는데 아래 상황이라면 우안도 인공수정체에 적응할수 있도록 시간을 두고 참는게 최선일까요?
근데 네이버 카페 등의 커뮤니티에서 보면 1년이 지나도 여전히 근거리가 아쉽다거나 중간거리가 아쉽다라는 글들을 볼수
있습니다. 그것은 다초점 렌즈 특성상 근거리 및 중간거리의 빛의 배분이 낮아서 그런것일까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아래 나오는 수치는 정확하지 않고 그냥 쉽게 이해하도록 예를 든것입니다.
백내장이 심한눈(좌안)이 있고 안심한 눈(우안)이 있는데.. 수술전에는
빛을 100을 받으면 심한 눈은 50%정도만 통과하여 보게 되구.. 안 심한 눈은 80%정도만 통과하여 수년동안
차츰씩 나빠지는 눈이지만 조금씩 조금씩 뇌가 적응하면서 보는게 익숙했습니다.
만약 백내장 다초점 렌즈로 수술을 하면 인공수정체이기 떄문에 빛의 70% 정도만 통과하게 됩니다.
물론 70%의 빛을 원거리, 중간거리, 근거리 또 나누게 되긴 하지만.. 그것에 대해서는 그냥 무시할께요
그러다가 수술후 좌안의 경우 기존에 50%만 빛이 들어오다가 수술후에 70% 들어오니 엄청 밝게 보이구 잘 보입니다.
이것은 좋게 된거기 때문에 뇌가 오히려 긍정적으로 반응합니다. 수술 직후 렌즈 spec을 벗어나서 오히려
더 잘보이기까지 합니다.(예를 들면 단초점 근거리를 하더라도 수술 직후 원거리가 잘 보이는 현상)
하지만 우안의 경우 기존 80%가 들어오다가 수술후에 70%가 들어오니 기존대비 빛이 부족하다구 생각이 되어
더 어둡고 뿌옇고 잘 안보이는게 아닌게 합니다. 즉 뇌가 기억을 하는거죠.. 기존에 80% 받았을때를 기억하는데
갑자기 70%만 들어오니.. 상대적으로 안보이는게 아닌가 합니다. 이게 시간을 두고 천천히 80% -> 70%까지 줄어든게
아니라 갑자기 70%로 줄어드니 뇌가 적응하지 못합니다.
아마 핸드폰을 최대 밝기로 한다거나 야외에서 핸드폰을 보면 핸드폰 글씨가 어느정도 보이는데..
그래서 의사들이 시간이 필요하다구 하는듯 합니다. 뇌가 기존 80% 빛의 시야에 익숙해져 있는데 수술후에 70% 빛의
시야에 익숙해지도록이요.. 익숙해지는데는 사람에 따라 최대 6개월~1년 사이 걸린다구 합니다.
아마 단초점일수록 빛을 100%에 가깝게 받아들이기 때문에 적응하는데 시간이 짧을거라구 생각합니다.
이를 생각하게 된 이유는 저의 다초점 렌즈 빛 배분이 원거리(50), 중간거리(20), 근거리(30)인데요..
현재 뿌옇고 보이고 있는 상황이긴 하지만 들어온 빛의 절반을 가져가는 원거리는 어느 정도 잘 보입니다.
그리고 그 다음에 근거리, 중간거리 수준으로 보이는데요..
사실 중간거리는 형편없는 수준입니다. 모니터 글을 겨우 읽는 수준입니다. 집중해서 보면 읽을수 있지만
1분 지난면 그냥 보기 싫습니다.
전체 1,445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공지사항 |
2024.08.15 공지사항
Han
|
2024.08.15
|
추천 6
|
조회 4072
|
Han | 2024.08.15 | 6 | 4072 |
공지사항 |
--게시판 운영 방침입니다--
easy-eye
|
2020.08.20
|
추천 8
|
조회 11894
|
easy-eye | 2020.08.20 | 8 | 11894 |
1425 |
New 안구건조증(만성 눈 충혈)및 (눈 핏줄)질문드립니다!
눈충혈박멸
|
2025.02.04
|
추천 0
|
조회 11
|
눈충혈박멸 | 2025.02.04 | 0 | 11 |
1424 |
성인 난시 (1)
궁금
|
2025.02.03
|
추천 0
|
조회 71
|
궁금 | 2025.02.03 | 0 | 71 |
1423 |
격자변성 레이저 관련 질문입니다. (1)
gr
|
2025.02.03
|
추천 0
|
조회 76
|
gr | 2025.02.03 | 0 | 76 |
1422 |
백내장 수술 (1)
룰루
|
2025.02.03
|
추천 0
|
조회 88
|
룰루 | 2025.02.03 | 0 | 88 |
1421 |
벽 보니 미세한 파동? 물결 일렁임? (3)
질문자
|
2025.02.01
|
추천 0
|
조회 227
|
질문자 | 2025.02.01 | 0 | 227 |
1420 |
눈알을 지긋이 누르면 (1)
궁금이
|
2025.02.01
|
추천 0
|
조회 233
|
궁금이 | 2025.02.01 | 0 | 233 |
1419 |
블루필드,비스,광시증? 여쭤봅니다 (2)
학생
|
2025.01.31
|
추천 0
|
조회 235
|
학생 | 2025.01.31 | 0 | 235 |
1418 |
5세 아이 난시... (1)
궁금이
|
2025.01.30
|
추천 0
|
조회 269
|
궁금이 | 2025.01.30 | 0 | 269 |
1417 |
전등 깜빡임이 느껴져요 (2)
질문입니다
|
2025.01.27
|
추천 0
|
조회 354
|
질문입니다 | 2025.01.27 | 0 | 354 |
1416 |
한쪽 눈이 묵직하고 당깁니다. (4)
한쪽 눈
|
2025.01.25
|
추천 0
|
조회 393
|
한쪽 눈 | 2025.01.25 | 0 | 393 |
1415 |
눈 깜빡임과 잔상? (1)
익명
|
2025.01.25
|
추천 0
|
조회 360
|
익명 | 2025.01.25 | 0 | 360 |
1414 |
유리체절제술 이후 느껴지는증상.. (1)
힘들어요ㅜ
|
2025.01.25
|
추천 0
|
조회 338
|
힘들어요ㅜ | 2025.01.25 | 0 | 338 |
1413 |
안경 과교정 문제 (1)
익명
|
2025.01.24
|
추천 0
|
조회 410
|
익명 | 2025.01.24 | 0 | 410 |
1412 |
눈 운동을 하고 눈이 이상해졌습니다. (1)
11
|
2025.01.22
|
추천 0
|
조회 415
|
11 | 2025.01.22 | 0 | 415 |
1411 |
비주얼스노우인가요? (2)
비스?
|
2025.01.22
|
추천 0
|
조회 383
|
비스? | 2025.01.22 | 0 | 383 |
1410 |
안구건조증 제발 탈출하고 싶습니다 (1)
안건 탈출
|
2025.01.22
|
추천 0
|
조회 374
|
안건 탈출 | 2025.01.22 | 0 | 374 |
1409 |
블루필드? 비주얼스노우? 이상한 증상 (3)
블루필드?
|
2025.01.22
|
추천 0
|
조회 371
|
블루필드? | 2025.01.22 | 0 | 371 |
1408 |
시야 이상 증세 질문 (1)
..
|
2025.01.21
|
추천 0
|
조회 517
|
.. | 2025.01.21 | 0 | 517 |
1407 |
밤에 빛있는 것(가게간판) 같은거 보고 잔상? (1)
잔상
|
2025.01.19
|
추천 0
|
조회 736
|
잔상 | 2025.01.19 | 0 | 736 |
1406 |
밤만 되면 빛이 이상하게 보입니다. (4)
눈
|
2025.01.19
|
추천 0
|
조회 814
|
눈 | 2025.01.19 | 0 | 814 |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우선, 현재 우안이 잘 안 보이는 상황에 대해 자세히 말씀드리자면, 정확한 원인 감별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이 너무 많아, 주신 정보만으로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더군다나 난시가 있으셔서 토릭 렌즈를 삽입하셨으니, 고려해야 할 요소가 더욱 많습니다.
하지만 다 떠나서, 환자분이 말씀하신 시나리오는 충분히 가능한 상황입니다.
어떤 렌즈를 어떤 도수로, 어떻게 삽입했을 때 실제로 어떻게 보이는지를 100% 재현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론적으로는 모델아이(Model Eye)를 통해 구현해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양안을 통해 받아들인 시각 정보를 적절히 처리하고, 인지하며, 통합하고, 재구성하고, 지각하는 등 후두엽에서 이루어지는 시각 처리 과정을 그대로 구현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리고 이 시각 처리 과정은 개인마다 큰 차이가 있습니다. 이전의 눈 상태, 생활습관 등 수많은 변수가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의사가 할 수 있는 일은 환자의 현재 눈 상태, 이전 눈 상태, 평소 생활습관(자주 사용하는 거리 등)을 모두 고려해, 최대한 환자에게 필요한 상태로, 그리고 편안한 상태로 수술을 잘 해드리는 것입니다.
다행스러운 점은, 인간은 적응의 동물이라는 것입니다. 예측한 대로 수술 결과가 나오고, 다른 문제가 없다면 대부분의 환자들은 결과에 잘 적응하며 만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술을(렌즈 교체) 고려하신다면 언제든지 가능하긴 하지만 6개월 이내가 가장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네.. 감사합니다. 초고도난시라서 눈에 맞는 렌즈도 잘 없는 상황인지라 이게 적응이 되어서 괜찮아지기만
한다면 1년이고 2년이고 기다리겠는데..
백내장 수술 많이들 받는다구 하셔서.. 쉽게 생각하고 다초점으로 수술을 했는데 수술 전 백내장과 동일한 상태인지라
평생 요렇게 산다면 재수술을 고려해야 하는데 견뎌야 하는 구간이 참으로 많이 갑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