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부 망막 드루젠(PPH retinal drusen) – 망막 주변부 변성13
- 망막 열공 레이저, 꼭 해야 할까?(망막 주변부 변성의 모든 것)
- 망막 주변부 변성의 특징과 분류
- 퇴행성 망막층간분리(senile retinoschisis) – 망막 주변부 변성 1
- 그냥 흰자리(white without pressure) – 망막 주변부 변성 2
- 그냥 어두운 자리(Dark without pressure) – 망막 주변부 변성 3
- 낭포 변성(cystoid degeneration) – 망막 주변부 변성 4
- 눈송이 변성(snowflake degeneration) – 망막 주변부 변성 5
- 스네일 트랙(snail track degeneration) – 망막 주변부 변성 6
- 망막 격자변성(lattice degeneration) – 망막 주변부 변성 7
- 망막술(retinal tufts) – 망막 주변부 변성 8
- 망막 열공(retinal tear) – 망막 주변부 변성 9
- 포석변성(paving-stone degeneration) – 망막 주변부 변성 10
- 선천색소상피비대증(CHRPE) – 망막 주변부 변성 11
- (망상)벌집모양변성 – 주변부 망막변성 12
- 주변부 망막 드루젠(PPH retinal drusen) – 망막 주변부 변성13
- 망막 열공 레이저 총 정리 – 1
- 망막 주변부 변성 레이저 총정리 – 2
- 망막레이저 부작용 총정리 – 3
“주변부 망막 드루젠”
드디어 망막 주변부 시리즈 마지막입니다.(이어서 레이저 치료에 대해 알아볼 예정)
드루젠은 이전에 “황반변성”에 대해 포스팅을 할 때 잠깐 언급을 드렸던 기억이 납니다 –> 클릭
차례
사례 보고
50대 여자 환자, 약간의 시력저하로 내원하여 시행한 검사상 경도의 백내장과 함께 망막 주변부에서 아래와 같은 병변이 발견되었습니다.

작고 반짝이는 하얀, 원형의 반점들이 다수 보입니다.

해당 부위 oct 소견을 보면 전형적인 “드루젠”의 모습입니다.
주변부 망막 드루젠
(peripheral retinal drusen)
“드루젠”은 쉽게 설명하자면 망막에서 생긴 찌꺼기가 뭉친 노폐물로 만들어진 병변입니다.
망막에서는 수많은 대사과정이 일어나고, 그 결과 부산물이 발생합니다.
망막 색소상피 등 망막에 존재하는 여러 세포가 부산물을 제거하는 기능이 있어 망막을 깨끗하게 유지를 하는데요~
(주로 나이가 들며) 부산물을 제거하는 기능이 떨어지게 되면서 망막에 노폐물이 쌓일 수 있는데 그 결과 “드루젠”이 발생합니다.

드루젠은 안저검사시 노랗고, 때로는 반짝이는 반점으로 관찰이 됩니다.

위와 같이 주로 망막의 중심부(황반)에 잘 발생하며 이런 경우 황반변성이라고 합니다.
주변부 망막 드루젠은 말 그대로 드루젠이 망막 중심부가 아닌 “주변부”에 국한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단순 노화현상으로 봅니다.
(몇몇 연구에 따른 주변부 망막 드루젠도 황반변성과 관련이 있다고 하지만..)
이 병변 역시 유리체-망막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망막 열공이나 박리의 위험인자가 아니며 레이저 치료 또한 필요하지 않습니다.
정리
일종의 망막 찌꺼기라고도 볼 수 있는 “드루젠”이 주변부에 생기는 주변부 망막 드루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여기까지 해서 망막 주변부 변성들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간단하게 나열해서 정리를 해보면
- 망막내 변성
– 노년 망막층간분리증(senile retinoschisis)
– 그냥 흰자리(white without pressure)
– 그냥 어두운자리(dark without pressure)
– 낭포변성(cystoid degeneration)
– 눈송이변성(snowflake degeneration) - 유리체-망막 변성
– 스네일 트랙(snail track degeneration)
– 격자 변성(lattine degeneration)
– 망막술(retinal tuft)
– 망막열공(retinal tear, break) - 망막-맥락막 변성
– 포석변성(paving stone degeneration)
– 선천색소상피비대증(CHRPE)
– 벌집모양변성(honeycomb degeneration)
– 주변부 망막 드루젠(peripheral retinal drusen)
많이… 알아보았네요^^
다음 포스팅은 이어서 주변부 장벽 레이저에 대해 언제하고, 어떻게 병변이 변하는지 등 자세하게 3~4개의 포스팅을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질문은 커뮤니티를 이용 바랍니다
Reference
- Venera A. Shaimova, Peripheral Retinal Degenerations 2nd edition, Springer
- 한국 망막학회, 망막 4th edition, 진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