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체절제술 – 망막 수술이 아닌 유리체 절제술을 하는 이유
“유리체절제술”

눈의 필름이라고 불리는 망막 조직에 문제가 생겨서
수술을 받아야 하는 분들이 당황하시는 순간이죠.

망막 수술이 아니라 웬 유리체절제술? 하실 겁니다.
차례
유리체 절제술
하는 이유

유리체란 눈 속을 채우고 있는 투명하고 끈적끈적한
계란 흰자와 같은 조직으로 망막 앞부분에 존재합니다.
따라서 수술 타겟인 망막에 수술 기구가 도달하기 위해서는
이 유리체를 지나야 하는데요~

유리체가 물처럼 투명해서 수술 기구를 망막까지 그냥 쓱 넣어도 될 것 같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유리체도 일종의 조직이기 때문에
절제를 해서 제거를 한 뒤에야 안전하게 망막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즉 유리체 절제술은 망막 수술을 하기 위한 어쩔 수 없는 과정이라 볼 수 있죠.

또한 유리체 자체가 다양한 망막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원인을 제거하는 목적도 있답니다.
이 부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우측 상단 링크를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이제 유리체 절제술을 하는 이유에 대해 어느 정도 감이 잡히셨을것 같네요.
그럼 마취부터 수술 마무리까지 하나하나 살펴볼까요?
유리체절제술
과정
마취

안과 수술의 마취는 크게 점안마취, 국소마취, 그리고 전신마취로 나눌 수 있어요.
유리체 절제술은 굉장히 미세한 수술이기 때문에
환자분이 눈을 움직이면 안 됩니다.
따라서 감각만을 마취하는 점안 마취는 적합하지 않고요~
주로 국소마취나 상황에 따라 전신마취를 하는 경우도 많아요.

이게 보기에 굉장히 아파 보이는데 그렇게 아픈 주사는 아니랍니다.
유리체 접근
마취가 되었으면 이제 절제를 위해 유리체에 접근을 해야 하는데요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옛날에는 눈 앞부분을 뚜껑을 따듯 열어 유리체 절제를 시행했답니다.
이 같은 방식을 open sky라고 하는데요
감염이나 염증이 많이 발생하여 더 나은 방법이 필요했습니다.

마침내 눈에 미세한 구멍을 내고 기구를 삽입하여 수술하는 closed 방식이 도입되었답니다.
open sky가 개복술이라면 closed 방식은 복강경수술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겠네요.
이후 유리체 절제술은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여
신의 영역이라 불렸던 망막질환을 하나씩 정복하기 시작합니다.

망막이 시작하는 전 부분인 “평면부” 라는 부분에
기구가 드나들 수 있도록 미세한 구멍 3개를 만들어줍니다.

눈 속을 비추는 조명기구, 유리체를 절제하며 흡입하는 절제침,
그리고 절제된 유리체를 대신할 식염수가 주입되는 관류관을 구멍에 각각 삽입합니다.
중심부 유리체 절제술

먼저 유리체 중심부를 제거해 주도록 할게요.
이 유리체 절제침 끝에는 미세한 칼날이 달려있어
단순히 유리체를 흡입하지 않고, 자르면서 즉 절제를 하며 흡입을 합니다.
후유리체 박리 유도

중심부가 충분히 제거되었으면 뒷부분을 제거하는데
이 후유리체는 망막에 딱 달라붙어있거든요?

그래서 아주 조심스럽게 살살 띄어내며 제거를 하는데 이를
후유리체 박리의 유도라고 합니다.
이 과정은 다양한 망막 질환 수술의 성공에 있어 중요한 과정이기 때문에
깔끔하고 안전한 후유리체 박리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네요.
망막 수술 진행
자 이제 드디어 망막에 온전히 접근을 할 수 있게되었네요.

질환에 따라서 막을 제거한다든지, 떨어진 망막을 붙인다든지, 레이저를 조사한다든지 등
다양한 처치를 망막에 하게 됩니다.
주변부 유리체절제술

망막 처치를 안전하게 마무리했다면
남은 주변부 유리체를 최대한 제거하는 것으로 수술을 마무리 합니다.
유리체 대용물

이제 눈 속은 유리체 대신 생리식염수가 그 자리를 대신 차지하고 있는 상황이죠.
하지만 경우에 따라 다른 물질로 눈 속을 채우는 경우가 있는데요

망막이 약해 떨어질 위험이 있는 상황에서는
부력으로 망막을 눌러줄 수 있는 공기나 특수 가스를 주입할 수 있습니다.
가스는 2주~4정도 눈 속에 존재하며 효과를 보이다가 서서히 흡수되어 사라집니다.

눈 속 염증이 심하거나, 망막이 너무 약한 경우
효과가 영구적인 기름 성분의 실리콘 오일을 주입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몇 개월 뒤 실리콘 오일을 제거하는 수술을 다시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지요.

생리식염수로 마무리된 경우라면 자세에 특별한 제약은 없지만,
가스나 실리콘 오일을 주입했다면 망막 안정화 효과를 위해
일정 기간 엎드리는 자세를 취해야 한답니다.
기체와 기름이 물 위로 뜨는 성질을 이용해 망막을 눌러주는 원리이죠.

모든 기구를 눈 속에서 뺀 뒤, 절개 부위를 한 땀씩 꿰매는 경우도 있지만
요즘에는 무봉합으로 마무리할 때가 더 많답니다.
마무리
자 이렇게 유리체 절제술의 과정에 대해 쉽게 말씀드려보았는데요~
실제로는 다양하고 복잡한 과정이 더 있지만, 여러분들께서는 이 정도만 아셔도 아주 훌륭하신 겁니다.
다음 시간에는 유리체 절제술의 다양한 합병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비문증을 위한 유리체 절제술이란 주제로 이번 시리즈를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끝까지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유리체 절제술의 이후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이전 유리체 절제술 포스팅 시리즈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클릭
질문은 커뮤니티를 이용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