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 주변부 변성의 특징과 분류
- 망막 열공 레이저, 꼭 해야 할까?(망막 주변부 변성의 모든 것)
- 망막 주변부 변성의 특징과 분류
- 퇴행성 망막층간분리(senile retinoschisis) – 망막 주변부 변성 1
- 그냥 흰자리(white without pressure) – 망막 주변부 변성 2
- 그냥 어두운 자리(Dark without pressure) – 망막 주변부 변성 3
- 낭포 변성(cystoid degeneration) – 망막 주변부 변성 4
- 눈송이 변성(snowflake degeneration) – 망막 주변부 변성 5
- 스네일 트랙(snail track degeneration) – 망막 주변부 변성 6
- 망막 격자변성(lattice degeneration) – 망막 주변부 변성 7
- 망막술(retinal tufts) – 망막 주변부 변성 8
- 망막 열공(retinal tear) – 망막 주변부 변성 9
- 포석변성(paving-stone degeneration) – 망막 주변부 변성 10
- 선천색소상피비대증(CHRPE) – 망막 주변부 변성 11
- (망상)벌집모양변성 – 주변부 망막변성 12
- 주변부 망막 드루젠(PPH retinal drusen) – 망막 주변부 변성13
- 망막 열공 레이저 총 정리 – 1
- 망막 주변부 변성 레이저 총정리 – 2
- 망막레이저 부작용 총정리 – 3
“망막 주변부 변성”
이번 포스팅에서는 망막 주변부 변성(peripheral retinal degeneration)의 특징과 분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차례
OCT(빛간섭단층촬영)
안과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큰 발전을 가져다준 기계들이 몇 가지 있습니다.
그중 빛간섭단층촬영(optical coherence tomography : OCT)가 망막 분야에서는 아마 엄청난 역할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OCT를 통해 우리는 망막 조직을 아주 자세하게 관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것도 눈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고 간단하게 사진만 찍어서 말이죠.
위 그림과 같이 망막의 특정 부위를 거의 조직학적 수준(매우 세밀하게) 볼 수 있습니다.
위는 눈 중심부를 찍은 망막 OCT 사진입니다.
이름처럼 OCT는 단층 촬영입니다.
조직을 층별로 찍는 것입니다. (복부, 머리 CT도 똑같습니다, x-ray가 아닌 빛을 사용한다는 차이)
위 그림을 보시면 눈 외부막 안쪽으로 얇은 망막이 감싸져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앞(눈 속 방향)으로 뭔가 뿌옇게 보이는 유리체가 있습니다.
지금 상태는 유리체가 일부분은 망막에 붙어있고, 일부분은 떨어져 있는 상태인 것 같습니다.
어쨌든 이렇게 OCT는 망막을 아주 세세하게 보여주기 때문에,
이 OCT를 통해 우리는 주변부 망막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주변부 망막의 특징
주변부 망막이 가지는 특징은
- 중심부에 비해 망막이 얇다.
- 유리체가 망막과 강하게 붙어있다.
정도가 있겠습니다.
위 그림은 위에서부터 아래 순서로, 망막의 중심부 –> 주변부 순서로 찍은 OCT 사진입니다.
확연하게 망막이 얇아지는 것을 아실 수 있을겁니다.
그리고 이렇게 얇은 주변부 망막은 유리체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1. 깨끗하게 다 붙어있는 경우
보시면 후유리체 박리가 일어나기 전이기 때문에 유리체가 투명하여 oct 상에서도 잘 보이지 않습니다.
2. 후유리체 박리(PVD)가 부분적으로 일어난 경우
보시면 후유리체가 사진의 좌측부분은 떨어져 있지만, 우측은 망막에 아직 붙어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추후 다 떨어질 수도, 혹은 열공과 같은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겠죠?)
3. 후유리체 박리(PVD)가 완전히 일어난 경우
망막으로 부터 후유리체가 완전하게 떨어져 있는 모습입니다.
4. 주변부 변성부분에 유리체-망막 견인이 걸린 경우
우측 그림에서는 잘 티가 나지 않지만, 색을 입힌 왼쪽 그림을 보시면 중앙부분에서 유리체가 망막을 뭔가 잡아 당기는듯한 뉘앙스죠?
5. 유리체-망막 견인으로 망막의 일부분이 들린 형태(pseudocysts)
결국 견인력을 이기지 못한 망막이 일부분 들린 모습입니다.
중심부에서 망막을 잡아 당기는 유리체가 보이시죠~?
6. 유리체-망막 견인과 위축성 병변(원공)
주변부 얇아진 부분(위축성 원공, 화살표) 주변으로 유리체-망막 견인이 심한 것이 보입니다.
7. 망막 일부분이 뜯겨 나간 열공(operculated tear)
견인력을 이기지 못한 망막이 유리체에 붙어 떨어져 나간 모습입니다(노란 화살표)
그리고 그 떨어진 곳은 망막 전체층이 소실된 모습입니다.(녹색 화살표)
이를 뚜껑이 있는(operculated) 열공(tear)라고 하며 보시는 바와 같이 더이상 유리체-망막 견인은 없는 상태입니다.
8. 유리체-망막 견인이 걸린 열공(flap tear)
7번과 다르게 유리체가 뜯겨나간 망막의 가장자리 부분을 잡아 당기는 모습입니다.
보시면 이미 망막이 조금 들려있네요(별표시)
위험한 타입이고 당장 레이저 시술이 필요합니다.
정리
이처럼 OCT를 이용하면 망막 병변의 자세한 “현황”을 알 수 있습니다.
유리체와의 관계까지 볼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그 의미는 큽니다.
하지만 주변부 망막에 OCT를 촬영하는 일은 일반적으로 없습니다^^;
다음 포스팅부터는 알려진 주변부 변성들에 대해 하나씩 알아보록 하겠습니다.
OCT를 통해 분석한 결과 정말 위험한 병변인지, 통계적으로 망막 박리와 얼마나 관련성이 있는지 등 알아볼게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질문은 커뮤니티를 이용 바랍니다.
Reference
- Venera A. Shaimova, Peripheral Retinal Degenerations 2nd edition, Springer
- 한국 망막학회, 망막 4th edition, 진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