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가 겹쳐보여요, 단안복시 – 3편
“글자가 겹쳐보여요”
안녕하세요~ 쉽게 이해하는 안과이야기 Easy-eye(Dr. 송) 입니다.
1편 : 단안복시의 감별(안구건조증, 급성 근시, 원시)
2편 : 밤에만 생기는 시력저하와 빛 번짐(야간 근시)
에 이은 단안복시 세 번째 포스팅 입니다.
(전 포스팅을 보고 오셔야 이해가 수월하실 겁니다)
오늘 알아볼 주제는 조절과 눈모음 장애에 의한 복시인데요~
엄밀히 따지면 이 부분은 단안 복시는 아닙니다.
조절과 눈모음 문제로 인한 복시, 번져보임은 한 눈을 가리면 사라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진단이 굉장히 애매하고 모호한 부분이 있어 많은 분들이 원인을 모른 상태로 이 병원 저 병원 다니시는 경우가 있습니다(한의원 등 민간 요법 포함…)
하지만, 조절과 눈모음 문제로 인한 복시는 정확한 진단을 했다 하더라도 명확하고 확실한 치료 방법이 없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
일단 무엇인지 제대로 알아보도록 합시다.
차례
근거리를 볼 때
우리가 가까운 물체를 깨끗하고 선명하게 보기 위해서는 눈에서 특별한 움직임이 몇 가지 일어나야 합니다.
1. 조절
지난 2편에서 “조절”에 대해 간단히 말씀드렸었죠?
조절은 우리 눈에서 자동적으로 일어나는 초점 맞추는 작용으로 볼 수 있습니다.

가까운 곳을 볼 때는 눈 속 렌즈(수정체)를 두껍게 하여 초점거리를 가깝게 하고, 먼 거리를 볼 때는 렌즈를 얇게 하여 초점 거리를 멀게 하므로 우리는 가까운 거리, 먼 거리 둘 다 선명하게 볼 수 있는 것입니다.
조절을 해서 얼마나 가까운 거리를 볼 수 있는지는 사람마다(근시 원시 정도), 나이에 따라 다른데요~
보려는 물체가 점점 가까워지다가 더 이상 조절을 더 할 수 없게 되는 거리를 “조절근점(near point of accomodation)”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조절 근점은 나이가 들수록 점점 멀어지게 돼요.
노화로 인해 조절을 하는 힘인 “조절력” 약해지는 “노안”이 가장 큰 원인이죠.(수정체의 탄성 저하로 인한 부분이 더 크긴 하지만…)

그래서 나이가 들수록 점점 더 스마트폰을 멀리 뻗어서 보게 되는 슬픈 현실…ㅜㅜ
자, 좀 더 자세히 들어가보면 가까운 물체를 선명하게 보기 위한 눈의 노력은 조절만이 아닙니다.
“눈모임” 그리고 “축동”이 또 있답니다.
2. 눈모임
우리의 눈은 두 개입니다.
각 눈에서 받아들인 이미지에 대한 정보는 뇌로 이동하여 뇌에서 해석을 하게 되는데요~
우리가 평소에 복시를 느끼지 않는 이유는 두 눈이 보는 상이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두 눈은 보려는 물체를 대상으로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죠.
그래야 두 눈이 똑같은 물체를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 이제 보려는 물체의 거리가 변하면 어떻게 될까요?

위 처럼 눈이 안쪽으로 모이게 됩니다. 이를 “눈모임”이라고 해요.

흔히 어릴 때 “사팔뜨기”라고 하며 눈을 과도하게 안쪽으로 모으는 장난은 다들 한 번쯤 해보셨죠?
이것도 눈모음이 맞습니다. (눈모음의 종류도 어려가지가 있지만 복잡하니 pass…)
어쨌든 우리는 가까운 물체를 볼 때 두 눈이 동일한 곳을 보기 위해 자동적으로 눈이 안쪽으로 몰린답니다^^
조절근점과 마찬가지로 눈모음을 할 수 있는 가장 가까운 거리를 눈모음근점(near point of convergence)라고 합니다.
눈모음 근점은 조절 근점과 달리 나이가 들어도 변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평균적으로 10cm 정도의 거리를 가집니다.
3. 축동
축동은 눈 속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홍채가 수축하여 동공이 작아지는 것을 말합니다.

빛의 양과 관계없이 반사적으로 가까운 물체를 보게 되면 다른 기전에 의해 동공 수축이 일어납니다.
(별로 중요하지 않아서 축동이 그냥 일어나는구나 정도만 하고 넘어가겠습니다)
1+2+3 : 근거리 주시 복합운동
자 이렇게 우리는 가까운 물체를 볼 때 하나의 선명한 상으로 보기 위해 조절, 눈모음, 축동이 일어납니다.
이 세 가지가 거의 동시에 일어나고 이를 “근거리주시복합운동(near vision complex)라고 합니다.
이 복합적인 운동이 어떻게 연결이 되어 있는지는 자세히 몰라요^^;;
복잡한 신경회로로 되어 있겠죠?
근거리주시복합운동
장애
“책을 오래 보다 보면 글자가 겹쳐보여요”…
이 근거리 주시복합운동에 어떤 문제가 생기면? 가까운 물체가 잘 안 보이거나, 번져서 보이거나, 두 개로 보이는 현상이 나타난답니다.
복잡하게 연관이 되어 딱 분류를 하기 어렵지만 큼지막하게 보자면
- 조절 이상
– 조절부족, 마비
– 조절 과다(경련, 연축) - 눈모음 이상
– 눈모음 과다(경련, 연축)
– 눈모음 부족
– 눈모음 마비
– 조절부족과 연관된 눈모음 부족
정도가 있겠습니다.
너무 복잡하고 쓸데없이 뭐가 많죠?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만 아셔도 됩니다.
글이 길어져서 다음 포스팅에서 이어서 하도록 하겠습니다^^.
질문은 커뮤니티를 이용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