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내장인공수정체 합병증

인공수정체 탈구/아탈구 – 개론

안녕하세요, 안과전문의 송한입니다.

오늘은 인공수정체 탈구(dislocation of intraocular lens)아탈구(subluxation)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는 개론입니다.

인공수정체는 백내장 수술 후 삽입되는 렌즈로, 일반적으로 눈 안에서 안정적으로 기능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수정체의 위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동은 시력 저하와 불편감을 유발할 수 있으며, 때로는 추가적인 치료나 수술이 필요합니다.

인공수정체 탈구와 아탈구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문제의 원인, 증상, 치료 방법 등을 이해하고, 나아가 수술적 접근에 대한 방향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공수정체 탈구와 아탈구란?

우 : 인공수정체 아탈구 / 좌 : 인공수정체 탈구

인공수정체 탈구(dislocation)는 말 그대로 인공수정체가 완전히 자리에서 벗어나 위치가 불안정해진 상태를 말합니다.

사진을 보시면 수정체가 눈 속으로 떨어져 있는 모습입니다.

반면, 아탈구(subluxation)는 수정체가 부분적으로만 제자리에서 벗어난 상태를 의미하며, 탈구에 비해 증상이 경미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아탈구는 “부분 탈구”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인공수정체는 백내장 수술후에 눈 안에 영구적으로 삽입되는 렌즈로, 원래 위치에 고정되어야 하지만, 다양한 이유로 시간이 지나면서 그 위치가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이는 시력 저하를 유발하고, 심할 경우 생활에 지장을 주게 됩니다.

백내장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이 궁금하시면 여기를 클릭


왜 인공수정체 탈구와 아탈구가 발생할까요?

인공수정체 탈구와 아탈구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섬모체의 약화 (Weakening of the zonules)

수정체 주머니를 지탱하는 섬모체(Zonule) : 동그라미

인공수정체는 눈의 섬모체(zonules)라는 조직에 의해 수정체 주머니에 고정됩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섬모체가 약해지거나 끊어지면, 수정체가 제자리를 유지하지 못하고 탈구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은 백내장 수술 후 지연된 합병증(delayed postoperative complication) 중 하나로 발생합니다.

나이가 들면서 자연적으로 조직이 약해지거나, 유리체 박리(posterior vitreous detachment)와 같은 노화 관련 변화가 진행되면, 섬모체의 견인력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2. 외상 (Trauma)

눈 또는 머리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인공수정체가 탈구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외상은 수술 직후뿐만 아니라, 수술 후 수년이 지나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운동 중이나 사고로 눈에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졌을 때 탈구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3. 기저 질환 (Underlying conditions)

눈에 만성 염증을 일으키는 포도막염(uveitis), 고도근시(high myopia), 또는 외상성 백내장(traumatic cataract)과 같은 기저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는 탈구의 위험이 더 높습니다.

이 질환들은 눈 속 조직을 약하게 만들기 때문에, 인공수정체의 위치가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특히 거짓비닐증후군(Pseudoexfoliation)과 같은 눈의 만성적인 문제가 있다면 그럴 위험은 더 높습니다.

4. 수술 기술 또는 합병증 (Surgical technique or complications)

수술 중 섬모체나 수정체 주머니에 손상이 발생하거나, 인공수정체가 제대로 고정되지 않았을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탈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백내장 수술 후 조기 합병증(early postoperative complication)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은 시간이 지나면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증상: 탈구와 아탈구는 어떻게 느껴질까요?

인공수정체 탈구나 아탈구가 발생하면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탈구가 경미한 경우 아탈구 상태에서는 증상이 미약할 수 있지만, 탈구가 심해질수록 환자가 느끼는 불편함은 커집니다.

  1. 시력 저하 (Blurred vision):
    인공수정체의 위치가 변하면, 수정체를 통해 망막에 정확하게 상이 맺히지 않기 때문에 시야가 흐려지거나, 복시(double vision)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빛 번짐 (Light halos):
    인공수정체가 벗어나면 빛이 눈 안에서 비정상적으로 굴절되어, 빛 주변에 후광(halos)이 나타나거나, 빛이 번져 보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밤에 더 뚜렷하게 느껴지며, 운전 중에 큰 불편을 줄 수 있습니다.

  3. 이물감 및 눈의 피로 (Eye discomfort and strain):
    수정체가 제대로 고정되지 않으면 눈의 초점이 맞지 않아, 눈이 쉽게 피로해지고 통증을 느끼기도 합니다.

  4. 시야가 흔들리는 느낌 (Shifting vision):
    수정체가 움직일 때 시야가 흔들리거나 갑작스럽게 초점이 맞지 않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수정체가 심하게 탈구된 경우에 자주 발생합니다.

  5. 완전 시력 저하
    인공수정체가 완전히 탈구가 된다면, 빛만 보일 정도로 시력은 떨어집니다.

치료 방법: 인공수정체 탈구와 아탈구의 해결책

탈구나 아탈구가 발생했을 때, 치료는 환자의 증상과 상태에 따라 결정됩니다.

치료 방법에는 관찰(observation)부터 수술적 교정(surgical intervention)까지 다양한 옵션이 있습니다.

1. 관찰 (Observation)

만약 아탈구가 경미하고, 시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 즉각적인 수술 없이 주기적인 관찰로 충분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시력 저하나 불편한 증상이 심해지는지 꾸준히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인공수정체 재배치 (IOL repositioning)

인공수정체가 제 기능을 하고 있다면, 수정체를 원래 자리로 재배치(repositioning)하는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 수술은 섬모체가 손상되지 않았거나, 여전히 기능을 유지하고 있을 때 효과적입니다.

인공수정체가 완전히 벗어나지 않은 경우, 수정체 재고정술(scleral refixation)을 통해 수술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3. 인공수정체 교체 (IOL exchange)

만약 수정체가 손상되었거나, 재배치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기존 인공수정체를 제거하고, 새로운 렌즈를 삽입해야 합니다.

이때, 새로운 렌즈는 눈의 구조에 따라 공막 고정술(scleral-fixated IOL)이나 앞방형 렌즈(anterior chamber IOL)로 고정될 수 있습니다.

환자의 눈 상태에 따라 맞춤형 수술 계획이 필요합니다.

4. 렌즈 제거 (Lens removal)

일부 환자의 경우, 인공수정체를 완전히 제거하고 렌즈를 삽입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로 시력을 교정하게 됩니다.


예방: 탈구와 아탈구를 막을 수 있을까요?

인공수정체 탈구와 아탈구는 때때로 피할 수 없는 문제이지만, 몇 가지 예방 조치를 통해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1. 정기적인 안과 검진 :
    백내장 수술을 받으신 분들은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인공수정체의 위치와 눈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기 발견은 문제를 빠르게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2. 눈 외상 방지 :
    눈에 외상이 가해질 위험이 있는 스포츠나 활동을 할 때는 보호안경(protective eyewear)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수술 후에는 눈에 직접적인 충격을 받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3. 기저 질환 관리 :
    포도막염이나 고도근시와 같은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 염증을 적절히 관리하고 눈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질환이 지속적으로 악화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결론: 인공수정체 탈구와 아탈구의 관리

인공수정체 탈구와 아탈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중 하나지만, 적절한 조치를 통해 충분히 관리할 수 있습니다.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는 시력 회복에 매우 중요하며, 탈구나 아탈구가 발생했을 때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앞으로의 포스팅에서는 실제로 인공수정체 탈구와 아탈구에 대한 수술 사례를 소개해 드릴 예정입니다.

각 환자분들의 증상과 상태에 따라 어떤 수술적 접근이 이루어졌는지 구체적으로 다룰 예정입니다.

다양한 수술 케이스를 통해, 인공수정체 탈구와 아탈구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돕고자 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가적인 질문이 있으시면 커뮤니티를 통해 언제든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현재 시리즈 이어보기 인공수정체 아탈구 접근법: 재고정 vs 교체 >>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